2024.06.22 (토)

  • 흐림동두천 24.3℃
  • 흐림강릉 24.4℃
  • 서울 25.2℃
  • 흐림대전 25.2℃
  • 대구 22.6℃
  • 울산 22.5℃
  • 광주 23.0℃
  • 부산 22.2℃
  • 흐림고창 23.4℃
  • 흐림제주 25.0℃
  • 흐림강화 22.3℃
  • 흐림보은 23.3℃
  • 흐림금산 22.1℃
  • 흐림강진군 23.3℃
  • 흐림경주시 25.3℃
  • 흐림거제 22.3℃
기상청 제공

문화

"삶은 금덩어리로 살 수 없다"…호방했던 유목민 이야기

아킬레우스부터 칭기즈칸까지…유목민의 역사 다룬 책 '노마드'

 

주)우리신문 김일권 기자 | 그리스 연합군이 총공세를 펼쳐도 트로이 성문은 견고하기만 했다. 그리스 최고 전사 아킬레우스 없이 전쟁에서 승리하는 건 불가능했다. 그리스 왕 아가멤논은 트로이 절세 미녀 20명, 금과 황동으로 가득 찬 배(船), 자신의 딸 등 엄청난 보상을 아킬레우스에게 제시했다.

 

그러나 아킬레우스는 꿈쩍도 하지 않았다. 자신이 사랑하는 왕녀 브리세이스를 아가멤논이 데려간 데 대해 화가 풀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평판이 떨어진 데 대해 그는 분노했다. 유목민이 거주하는 '스텝' 세계에서 온 영웅들은 돈보다 명예를 중시했다. 아킬레우스의 혈관에도 그런 유목민의 피가 흐르고 있었다. 그들에게 "삶은 금덩어리로 살 수 없다"는 신조가 있었다.

 

영국 언론인이자 작가인 앤서니 새틴은 신간 '노마드'에서 '일리아드' 속 일화를 유목민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해낸다.

 

1만2천년에 이르는 유목민의 역사를 다룬 이 야심만만한 책에서 아킬레우스는 흑해 북쪽의 초원 지역에서 온 초기 그리스인으로 등장한다. 그에 따르면 트로이 전쟁에서 싸운 그리스인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민주주의를 만든 사람들이 아닌, '유목민'이었다.

 

 

유목민은 '성경'에선 양을 치는 아벨로, 수메르의 서사시 '길가메시'에선 엄청난 용력을 지닌 엔키두로, '일리아드'에선 아킬레우스로 각각 얼굴을 바꿔 등장했다.

 

정처 없이 떠도는 그들은 지구의 반쪽을 차지한 지배자였다. 힉소스인들은 고대 이집트를 한때 지배했고, 스텝 지대에서 내려온 인도·유럽인 유목민은 인도를 정복했다. 방랑자 족속이었던 페르시아인은 지중해부터 인더스강 유역까지를 통치했다. 기원전 5세기 무렵, 세계인구의 40%를 지배한 그들은 "엉겅퀴를 뜯어 먹던 종족에서 진수성찬을 먹는 종족"으로 발전했다.

 

기원전 2세기만 하더라도 유목민인 흉노의 세력은 만주에서 카자흐스탄까지 뻗어 있었고, 스키타이는 흑해에서 카자흐스탄 알타이산맥에 이르는 땅 대부분을 지배했다. 이들의 영토를 한데 모으면 로마제국이나 중국 한 제국의 영토보다도 거대했다.

 

정점을 찍은 건 몽골제국이었다. 칭기즈칸과 그 후손들은 아시아에서부터 중부 유럽에 이르는 대제국을 일궈냈다. 세계 최대의 통로인 스텝 회랑지대를 천하 통일한 것이다. 봄을 알리기 전 헝가리 대평원에서 말을 타면 엄동설한이 닥치기 전에야 겨우 몽골에 도착할 수 있는, 그런 엄청난 땅덩어리였다.

 

 

 

 

 
 
 
 

정치

더보기
北위협 증대,·범죄 흉포화…정부세종청사 테러대응책 마련한다
주)우리신문 박현정 기자 | 무인기 침범, 오물풍선 등 북한의 위협이 증대하는 가운데 정부가 세종청사의 대테러 활동을 강화하고자 본격적인 대책 마련에 나선다. 정부가 세종청사를 둘러싼 잠재적 테러 위협 등을 종합 분석해 대응책을 강구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행정안전부 정부청사관리본부는 이달 7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정부세종청사 테러 환경 분석 및 대테러 활동 강화방안'이라는 제목의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청사관리본부는 제안요청서에서 "정부세종청사는 '통합방위법', '보안업무규정' 등 관계 법령에 따라 국가중요시설 '가급'으로 지정돼 있으나, 다른 국가중요시설과 달리 인구 유동성이 높은 세종 도심지에 위치해 폭탄 테러 등 각종 유형의 테러 공격 취약성에 노출"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의 무인기 침범, 다발적 흉기 난동 등 테러 위험성이 높아짐에 따라 정부세종청사 대테러 활동 강화방안을 모색해 이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용역에 담길 과업으로는 국내외 국가중요시설의 테러 대응체계 분석과 세종청사의 건축 구조적, 입지적 특성에 따른 테러 취약요소 발굴, 테러 취약요소 개선을 위한 장·단기적 대책 등이 제시됐다. 1995년 미국 오클라호마주


국제

더보기
베를린 소녀상 철거 위기에 "구청은 그동안 뭐했나"
주)우리신문 박영하 기자 | 설치 4년 만에 철거 위기를 맞은 독일 베를린 평화의 소녀상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소녀상이 설치된 베를린 미테구의 진보 정당은 행정당국이 여러 차례 존치 결의안에도 불구하고 손을 놓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소녀상을 설치한 재독시민단체 코리아협의회는 비문의 문구가 문제라는 구청의 주장이 핑계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미테구 좌파당은 21일(현지시간) 성명에서 "우리는 이미 충분히 논의했고 소녀상의 앞날에 대한 제안을 들었다. 그러나 구청은 아무것도 실행하지 않았다"고 질타했다. 미테구 의회는 2020년 9월 소녀상이 설치된 이후 영구 존치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여러 차례 채택했다. 가장 최근인 2022년 6월 결의안에는 구청이 공공부지 특별 사용 허가를 영구적으로 연장하고 연방정부 차원의 전시 성폭력 기념관 건립에 평화의 소녀상을 포함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돼 있다. 미테구 의회는 전날 저녁 정기회의에 추가 결의안을 상정했으나 표결을 거쳐 문화분과에서 더 논의하기로 결정했다. 의회에는 슈테파니 렘링거 구청장과 당국자가 출석해 '용인'(Duldung) 기간이 만료되는 9월28일 이후 철거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좌파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