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3 (일)

  • 흐림동두천 22.2℃
  • 흐림강릉 21.3℃
  • 서울 23.1℃
  • 대전 23.4℃
  • 박무대구 23.4℃
  • 흐림울산 23.8℃
  • 광주 22.6℃
  • 박무부산 23.7℃
  • 구름많음고창 22.8℃
  • 흐림제주 27.0℃
  • 구름많음강화 22.6℃
  • 흐림보은 22.1℃
  • 구름많음금산 23.7℃
  • 흐림강진군 23.4℃
  • 구름많음경주시 22.8℃
  • 구름많음거제 23.5℃
기상청 제공

경제

'한국 소주'인줄 알았더니…동남아에서 팔리는 태국산 소주

"소주 시장 커지면서 스미노프·타이거맥주 등 경쟁 뛰어들어"
'진로 소주' 베트남서 맥주 3배 가격…"20대 여성들 즐기고 과일소주 인기"

 

주)우리신문 이용세 기자 | 지난 13일 베트남 수도 하노이. 한 일본계 슈퍼마켓의 단독 매대에 '청포도에 이슬' 같은 하이트진로[000080]의 과일소주가 눈에 잘 띄게 진열돼 있었다.

 

그 옆쪽으로는 보드카와 함께 여러 브랜드의 초록색 병이 줄을 지어있었다.

 

'○○에 이슬'이라는 이름의 하이트진로 과일소주를 빼면 나머지 브랜드는 생소했다.

 

'한국제품'(Product of Korea)이라는 문구가 크게 쓰여 있는 '아라'는 청사과에서 딸기까지 과일소주 5종이 있었다.

뒷면을 보니 보해양조[000890] 제품이었다. 보해양조는 2020년 동남아 수출 전용으로 '아라'를 내놨다.

 

'담소', '힘' 등 국내 중소기업의 과일소주도 판매되고 있었다.

 

하지만 초록색 병에 영락없는 한국 소주 같은 '태양소주'는 깨알 같은 크기의 제조회사 주소를 확인하고서야 태국 제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조사는 '타완당 1999'라는 회사였다.

 

하이트진로가 청포도, 복숭아, 자몽, 딸기, 자두 등 5종의 과일소주를 판매하는 것과 비슷하게 '태양소주'도 딸기, 자몽, 복숭아, 포도 등 5종이 있었다. 도수는 하이트진로의 과일소주와 동일한 13도였다.

 

황정호 하이트진로 해외사업본부 전무는 '유사 소주'라는 용어를 쓰면서 "베트남에도 유사 소주가 넘쳐난다. 27개 브랜드, 170가지 이상"이라면서 "하이트진로의 소주 수출 전략 국가 17개국 대부분에서 유사 소주가 넘친다"고 말했다.

 

황 전무는 보드카로 유명한 스미노프와 싱가포르 타이거맥주도 '유사 소주' 제품을 내놨다면서 "거의 모든 회사가 소주 시장 경쟁에 뛰어들었다. 시장이 커져 돈이 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태국, 베트남 등 동남아 젊은층 사이에서 K드라마나 K팝 인기에 힘입어 소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이 소주 대중화에 한몫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동남아에서는 일반 소주보다 과일소주의 인기가 높다.

 

베트남에서는 소주가 비싼 가격에 팔리고 있었다.

 

슈퍼마켓에서 본 하이트진로 과일소주 가격은 6만5천동(약 3천500원)으로 하이네켄 맥주 캔(2만500동)의 3배가 넘었다.

 

 

이날 하노이 구시가지 호안끼엠 호수 근처 따히엔 맥주 거리에서도 한국 소주가 입지를 넓혀간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진로 소주' 티셔츠를 입은 여성들이 맥주 거리를 돌면서 진로 소주를 주문하는 소비자에게 잔이나 인형을 사은품으로 나눠주면서 분위기를 띄웠다.

 

하이트진로 관계자는 맥주 거리 주점 78곳 가운데 64곳에서 과일소주와 참이슬 후레쉬를 판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아직은 많이 판매되지는 않지만, 입점률은 작년 이맘때 40%에서 지금은 82%까지 높아졌다"고 말했다.

 

한 주점에서 진로 소주 가격은 12만동으로 가장 비싼 편이었다. 다른 주점에서는 소주가 15만동(약 8천원)으로 버드와이저(5만동)의 3배였다.

 

진로 관계자는 "소주가 비싸지만, 베트남 소득이 올라가 소주 판매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100m 넘게 이어진 맥주 거리를 지나다가 야외 테이블에서 진로 과일소주를 마시는 20대 현지 여성 2명을 만났다.

 

올해 21살 대학생으로 자신의 이름을 린으로 소개한 여성은 과일소주 가운데 복숭아 맛을 좋아하며 청포도 맛은 이날 처음 마셔본다고 했다.

 

그는 "맥주보다 3배 정도 비싸지만, 가끔 기분 내러 마신다"면서 "친구들은 소주를 알지만, 우리 부모는 소주를 모른다"고 말했다.

 

이 여성은 BTS와 세븐틴 등 K팝을 좋아하며 김밥 등 한국 음식을 즐겨 먹는다고 덧붙였다.

 

맥주 거리에는 하이트진로에서 '진로'라는 이름을 빌려 쓰는 한국식 고깃집도 있었다. 현지인들은 삼겹살을 구우면서 소주잔을 기울였다.

 

손님은 거의 현지인으로 20대 중후반 여성 직장인 고객이 많다고 업주 김광욱 씨는 전했다.

 

그는 ""과일소주와 일반 소주는 7대 3 정도로 팔린다"면서 "한국 드라마가 유명해지면서 '소맥'을 마시는 손님도 더러 있다"고 설명했다.

 

이 고깃집을 찾은 22세 여성 레티튀항 씨는 "마트 시음 행사에서 소주를 처음 마셔봤다"면서 "주로 고기와 같이 마시고 피크닉 가서 요구르트와 섞어 마시기도 한다"고 말했다.

 

 

 


정치

더보기
北위협 증대,·범죄 흉포화…정부세종청사 테러대응책 마련한다
주)우리신문 박현정 기자 | 무인기 침범, 오물풍선 등 북한의 위협이 증대하는 가운데 정부가 세종청사의 대테러 활동을 강화하고자 본격적인 대책 마련에 나선다. 정부가 세종청사를 둘러싼 잠재적 테러 위협 등을 종합 분석해 대응책을 강구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행정안전부 정부청사관리본부는 이달 7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정부세종청사 테러 환경 분석 및 대테러 활동 강화방안'이라는 제목의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청사관리본부는 제안요청서에서 "정부세종청사는 '통합방위법', '보안업무규정' 등 관계 법령에 따라 국가중요시설 '가급'으로 지정돼 있으나, 다른 국가중요시설과 달리 인구 유동성이 높은 세종 도심지에 위치해 폭탄 테러 등 각종 유형의 테러 공격 취약성에 노출"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의 무인기 침범, 다발적 흉기 난동 등 테러 위험성이 높아짐에 따라 정부세종청사 대테러 활동 강화방안을 모색해 이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용역에 담길 과업으로는 국내외 국가중요시설의 테러 대응체계 분석과 세종청사의 건축 구조적, 입지적 특성에 따른 테러 취약요소 발굴, 테러 취약요소 개선을 위한 장·단기적 대책 등이 제시됐다. 1995년 미국 오클라호마주


국제

더보기
베를린 소녀상 철거 위기에 "구청은 그동안 뭐했나"
주)우리신문 박영하 기자 | 설치 4년 만에 철거 위기를 맞은 독일 베를린 평화의 소녀상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소녀상이 설치된 베를린 미테구의 진보 정당은 행정당국이 여러 차례 존치 결의안에도 불구하고 손을 놓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소녀상을 설치한 재독시민단체 코리아협의회는 비문의 문구가 문제라는 구청의 주장이 핑계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미테구 좌파당은 21일(현지시간) 성명에서 "우리는 이미 충분히 논의했고 소녀상의 앞날에 대한 제안을 들었다. 그러나 구청은 아무것도 실행하지 않았다"고 질타했다. 미테구 의회는 2020년 9월 소녀상이 설치된 이후 영구 존치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여러 차례 채택했다. 가장 최근인 2022년 6월 결의안에는 구청이 공공부지 특별 사용 허가를 영구적으로 연장하고 연방정부 차원의 전시 성폭력 기념관 건립에 평화의 소녀상을 포함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돼 있다. 미테구 의회는 전날 저녁 정기회의에 추가 결의안을 상정했으나 표결을 거쳐 문화분과에서 더 논의하기로 결정했다. 의회에는 슈테파니 렘링거 구청장과 당국자가 출석해 '용인'(Duldung) 기간이 만료되는 9월28일 이후 철거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좌파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