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우리신문 김경환 기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끄는 공산당 지도부가 학계에 대한 통제와 탄압을 강화하면서 중국 학자들이 실종되거나 퇴출당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23일 '시진핑의 중국 학계에 대한 통제 강화'라는 제목 기사에서 중국 당국의 학계에 대한 통제력 강화 실태를 이같이 조명했다.
신문은 우선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전면 침공을 가장 두드러지게 비판했다가 조기 은퇴를 강요당한 후웨이(胡偉) 공산당 상하이시 당교 교수의 사연을 소개했다.
중국 정부의 고위 고문이기도 한 후 교수는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직후 베이징(중국 지도부)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관계를 가능한 한 빨리 단절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중국 내에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는 푸틴 대통령과 밀착하려던 시 주석 정책에 직접적으로 반하는 주장이었다.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 2명은 "후 교수가 지난해 59세 나이에 상하이시 당교에서 강제로 은퇴했다"고 말했다.
중국 지도부에 조언했던 저명 학자의 은퇴 연령치고는 너무 일렀다는 게 소식통들 설명이다.
후 교수는 시 주석의 공산당이 학계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면서 최근 몇 년 새 표적이 된 학자 중 1명이다.
다만 그는 상하이시 당교에서 은퇴하는 데 동의한 이유로 감옥행은 면했고, 공개행사에도 참석할 수 있는 상태라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중국은 해외는 물론 중국에 거주하는 지식인을 표적으로 삼아 정치, 국제관계와 같은 전통적으로 민감한 주제뿐만 아니라 어려움에 부닥친 중국 경제에 대한 논의도 억압하고 있다고 FT는 짚었다.
일부 학자들은 당국에 의해 알려지지 않은 혐의로 구금돼 대중 시야에서 사라졌고, 다른 일부 학자들은 대학이나 소속기관에서 해고되기도 했다.
소셜미디어 계정이 취소되거나, 다른 형태의 행정적 또는 법적 처벌을 받은 경우도 있었다.
구체적으로 주헝펑(朱恒鵬) 전 사회과학원 경제연구소 부소장은 위챗(微信·중국판 카카오톡)에 올린 글로 인해 구금 조치를 당했다고 소식통 2명은 전했다.
지난달 말 중국 매체들은 주 전 부소장이 최근 '중앙(당 중앙)에 대한 망언' 혐의로 엄중 처분을 받았다고 보도했었다.
신문은 또 명문 칭화대에서 정치학 강사로 일했던 우창(吳强) 박사가 올해 3월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기간 가택연금에 처해졌다는 사례도 거론했다.
다만 중국 사회과학원과 칭화대는 모두 FT의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
최근에는 일본에서 활동하는 중국 학자들이 특히 표적이 되고 있다고 한다.
일본 아시아대학 정치학과 판윈타오(范雲濤) 교수는 지난해 고향 상하이로 돌아오던 중 실종됐다.
일본 고베가쿠인대학 후스윈(胡士雲) 교수도 지난해 중국 여행 도중 실종됐는데, 대학 측은 지난 3월 "그의 행방을 아직 모른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FT는 전했다.
일본 캐논 글로벌연구소의 미네무라 겐지 수석연구원은 "일본이 확실히 표적이 된 것 같다"며 중국이 미국과 안보협력을 강화하는 일본에 대한 압력을 가하고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신문은 탄압받은 중국 소수민족 학자들 사례도 소개했다.
저명 위구르 민속학자 라힐레 다우트는 2017년에 실종됐는데, 비밀 재판을 통해 종신형을 선고받았다는 외신 보도가 지난해 9월 나온 바 있다.
중국 외교부는 자국 학자들에 대한 탄압 여부와 관련, "구체적인 상황을 알지 못한다"면서도 "원칙적으로 중국은 외국과의 학술교류에 개방적인 태도를 유지하지만, 악의적인 추측과 중국에 대한 근거 없는 중상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국 프린스턴대의 페리 링크 명예교수는 "마오쩌둥(毛澤東·1893∼1976) 전 주석 통치 기간 중국은 교수들의 근무조건, 자녀 학교 등까지 엄격하게 통제했다"면서 당시보다는 완화됐지만 중국 당국의 통제는 '샹들리에의 아나콘다'처럼 언제든 선을 넘은 사람에게 닥칠 수 있는 위협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공산당 위원회(조직)가 각 대학에서 결정을 내린다는 근본적인 사실은 마오쩌둥 시절이나 지금이나 달라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